본문 바로가기

검사 및 시술, 수술

기흉(pneumothroax), 혈기흉(hemopneumothroax),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roax) 원인, 치료, 간호

기흉, 혈기흉

출처 : wikimedia commons

 

기흉 : 폐에 손상이 생겨 흉막강에 공기가 고이게 되는 질환

> 일차성, 이차성 기흉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혈기흉 : 기흉과 더불어 흉막강에 혈액이 함께 고이게 되는 질환

> 보통 외상성 기흉에 많이 발생합니다.

 

일차성 기흉

 

보통 키 크고 마른 남자에게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그중 90% 이상이 흡연자로 통계되고 있습니다.

 

폐첨부 흉막하에 있는 소기포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차성 기흉

 

폐실질에 발생한 질병에 의해 발생되는 기흉을 뜻합니다.

 

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기종, 결핵, 암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상에 의해서도 기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긴장성 기흉은 응급상황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흉이 발생하면 일정량의 공기만 흉막강에 축적되고 멈추지만 긴장성 기흉은 흉부 내 압력이 올라감에 따라 공기가 계속해서 흉막강으로 들어가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응급상황으로 분류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흉막강에 공기가 계속해서 축적되면 결국 흉막강이 심장을 누르게 됩니다. 이는 심장의 기능을 크게 저하시키며 전신을 순환시키는 혈액량을 감소시켜 shock을 발생시킵니다. 악순환의 반복이 결국 사망까지 이르게 하므로 발견즉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기흉, 혈기흉 치료 1

 

일차성 기흉, 심하지 않은 기흉 발생 시 보통 산소요법을 시행합니다.

 

산소요법을 하는 이론적 근거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기에는 21%의 산소, 78%의 질소, 1%의 기타 기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략하게 반올림하여 20%의 산소, 80%의 질소로 가정을 해봅니다.

 

기흉발생 시 흉막강에는 20%의 산소, 80%의 질소가 차있는 샘입니다. 즉 fio2는 0.2입니다.

 

우리가 5L의 산소를 적용하면 그 공기의 fio2는 0.4가 됩니다. 그만큼 질소가 차지하는 비중도 줄어들게 됩니다.

 

5L의 산소가 폐로 들어가게 되면 흉막강에 있는 공기와 질소 분압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흉막강에 있는 질소는 분압차에 의해 폐 쪽으로 들어오게 되어 흉막강 내 질소분압이 낮아지게 됩니다.

 

즉 흉막강에 있는 질소의 분압을 낮추어 흉막강에서 공기의 흡수 속도를 가속화하게 됩니다.

 

계산의 편의를 위해 예시를 5L로 들었지만 의사 판단하 2L 이상의 산소를 투여하게 됩니다.

 

기흉, 혈기흉 치료 2

chest tube drainage bottle

 

의사 판단 하 산소요법으로 치유를 유도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면 CTD(chest tube drainage) insertion을 하게 됩니다.

 

증상이 매우 심할 경우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시술 선에서 정리됩니다.

 

CTD insertion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의사는 x-ray, CT로 기흉, 혈기흉 위치를 판단하고 적절한 chest tube catheter를 선택합니다. (fr도 각기 다르고 직선모양, 휘어있는 모양 등이 다릅니다.)

시술부위를 dx후 incision을 가한 후 catheter insertion을 시행합니다.

CTD bottle과 연결하여 air leakage, oscillation을 확인합니다.

시술부위 dx 후 CTD 양상을 확인합니다. post로 x-ray를 촬영하고 이후 의사 판단 하 insertion 깊이를 조정하기도 합니다.

정확한 위치에 삽입했음에도 원활하게 배액 되지 않으면 wall suction을 걸 수도 있습니다.

 

기흉, 혈기흉 간호, CTD 간호

c type bottle

 

가장 먼저 확인할 것은 air leakage가 있는지 여부입니다. 안에 공기가 나온다면 밀봉병 부분에 공기가 뽀글뽀글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큰 호흡, 기침 시 air leakage가 발생하지만 계속해서 bubbling이 된다면 주치의에게 알리도록 합니다. 

 

그다음으로 oscillation을 확인합니다. 대롱으로 표시된 부분에 공기방울 움직임을 통해서, 환자와 연결된 tube에서 배액 된 삼출물의 움직임을 통해서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간혹 막히는 경우가 있거나 tube에서 잘 내려가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squeezing을 잘해주도록 합니다.

 

drain 되는 양, 양상을 확인합니다. 보통 sanguineous > serous sanguineous > serous 양상으로 변해갑니다.

 

CTD bottle이 800cc 이상 차있다면 해당 과에 연락을 해 bottle change를 하도록 합니다. 역류하여 contamination 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CTD tube 가 꼬여있거나 막혀있는지 항상 잘 확인합니다.

 

만약 CTD가 불의의 사고로 빠지게 된다면(발이나 침상에 걸리거나 체위변경하다 빠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 구멍을 통해 다시 흉막강으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바셀린 거즈를 통해 즉시 막아주도록 합니다. 단순히 tube만 빠졌다면 kelly를 통해 clamping 해주도록 합니다.

 

CTD insertion site dx을 확인합니다. oozing이 된다면 dx이 잘못되었거나 CTD가 떠서 그럴 수 있으니 다시 dx을 시행하도록 합니다.

 

wall suction을 거는 경우 물높이에 cmH2O 위치를 맞추고 벽에 연결합니다. 물이 증발하기에 항상 적정 물높이를 확인해 줍니다.

 

CTD를 빼게 된다면 그 자리는 suture 후 compression dx을 시행하고 2주가량 유지하도록 합니다. 그 사이에 dx이 떨어지지 않게 주의합니다.